k6 - 성능 테스트 유형
·
Testing
모든 애플리케이션은 고유한 요구사항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능 테스트는 단일 테스트로 한정되지 않으며 각 애플리케이션이 직면한 요구사항과 시나리오에 맞춰 다양하게 구성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성능 테스트를 진행할 때 염두해둬야할 테스트 유형들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고 k6를 사용해 테스트 스크립트를 작성해보고자 한다. 성능 테스트 도구 중 하나인 k6에 대해 정리해 놓은 글이 있으니 참고하면 좋을 듯 하다. 2023.12.29 - [Testing] - k6 - 성능 테스트 도구 (Performance Testing Tool) k6 - 성능 테스트 도구 (Performance Testing Tool) 성능 테스트(Perform..
k6 - 성능 테스트 도구 (Performance Testing Tool)
·
Testing
성능 테스트(Performance Testing)는 우리가 제작한 웹 애플리케이션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평가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성능 테스트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견고함을 검증하고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는 단계를 밟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성능 테스트 도구 중 하나인 k6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k6 Installation & Testing 기본 개념 테스트 결과 해석 1. k6 k6는 성능 테스트를 위한 오픈 소스 도구로 API,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쳐를 가진 시스템, 웹 사이트 등과 같은 다양한 웹 서비스들의 성능 측정과 부하 테스트에 사용된다. k6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실제로 웹 사이트에 방문하거나 API를 호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
JavaScript - Map , Set
·
JavaScript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바스크립트에서 제공하는 자료구조 중 하나인 Map(맵)과 Set(셋)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Map Set 1. Map Map(맵) 객체는 키(key)와 값(value)의 쌍으로 이루어진 컬렉션이다. 키(key)가 있는 데이터를 저장한다는 점에서 객체(Object)와 유사하지만 기존 객체와 달리 키로 어떤 자료형이든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 Map 객체의 생성 Map 객체는 Map 생성자 함수로 생성한다. Map 생성자 함수에 인수를 전달하지 않으면 빈 Map 객체가 생성된다. Map 생성자 함수는 이터러블(iterable)을 인수로 전달받아 Map 객체를 생성한다. 이때 인수로 전달되는 이터러블은 키와 값의 쌍으로 이루어진 요소로 구성되어야 한다. c..
JavaScript - this? this!
·
JavaScript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바스크립트의 this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this란? this 바인딩 화살표 함수와 this 1. this란? 일반적으로 객체지향 언어에서 this는 클래스로 생성한 인스턴스 객체를 의미한다. 하지만 자바스크립트의 this는 클래스에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어디서든 사용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this가 바라보는 대상이 달라지기도 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자바스크립트를 공부할 때 혼란스러움을 겪는 개념 중의 하나가 바로 this가 아닐까 싶다. this가 난해한 이유는 바로 상황에 따라 this가 가리키는 대상이 달라지기 때문인데, this가 바라보는 대상이 무엇인지에 대한 실마리는 this가 결정되는 시점에서 얻을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에서 this는 기본적으..
JavaScript - 불변성(Immutability)
·
JavaScript
이번 포스팅에서는 불변성(Immutability)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Immutable type Mutable type 1. Immutable type 불변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는 우선 자바스크립트의 변수 타입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자바스크립트의 변수는 크게 원시 타입(Primitive type)과 참조 타입(Reference type)으로 나눌 수 있으며, 원시 타입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Boolean String Number undefined null Symbol (ES6부터 추가) 이러한 원시 타입의 데이터들은 소위 불변성(Immutability)을 갖고 있다고 얘기한다. 실제 변수에 값이 할당되는 과정을 살펴보면서 이해해보도록 하자. let str = "Hello";..